DISCLAIMER: 이 웹사이트에서 소개하는 임상심리과 및 정신과 장애의 증상, 진단기준, 치료방법 등은 면허를 소지한 전문치료사, 신경정신과 전문의(Psychiatrist), 심리치료사 (Licensed Psychologist), 소셜워커 (LCSW), 가족-결혼치료사 (LMFT), 그리고 면허를 소지한 Psychiatric Nurse 또는 Registered Nurse의 상담 및 치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이곳에서 소개하는 증상을 경험하고 있을 경우 면허를 소지한 전문치료사와 상담하십시오.
아동/청소년 우울증 증상 및 진단기준 (Diagnostic Criteria for Children & Adolescents)
우울증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 연령층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의 차이를 들 수 있다. 아동, 청소년들에게 나타나는 증상과 성인 또는 노년층에 나타는 증상에는 상당한 차이가 나고 있음을 DSM-IV에서 밝히고 있다. (성인 우울증은 "기분장애: 우울증 진단 및 치료" 페이지를 참고하기 바람). 아동우울증의 진단에는 다음과 같은 Weinberg 진단기준(The Weinberg Criteria)이 적용된다:
우울증 발생 위험요소 (Risk Factors)
아동-청소년 우울증 발병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부모가 지닌 정신과 장애(특히 우울증이나 약물중독)와 부모간의 갈등으로 인한 심각한 가정불화나 이혼 두 가지를 들고 있다. 가정의 안정적 기틀과 가족간의 관계에 위협이 되는 부모-자식, 부부, 그리고 생활환경의 어떠한 변화도 아동우울증의 주요한 발병위험요소가 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아동-청소년 우울증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요소들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잠복성 우울증 (Masked Depression)
잠복성 우울증의 주요원인으로는 학교공부의 가중한 책임감, 성적부진으로 오는 좌절 및 절망감 (hopelessness), 동급생이나 친구들로부터의 따돌림, 부모로부터의 버림받음, 친구나 부모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함, 열악한 가정환경, 부모의 정서적 유기 또는 방치, 그리고 신체적, 성적학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런 경험을 하는 아동들에게서는 위의 Weinberg 진단기준에서 말하는 전형적인 우울증 증상보다는 오히려 불안장애, 반항행동 및 반사회적 행동장애 등이 중요한 증상으로 나타나며, 특히 학교생활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는 한다. 등교거부, 무단결석, 학업소홀 등으로 정학을 당하거나 자녀의 문제로 인하여 학교당국과 면담이 잦아지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자녀의 행동이 우울증으로부터 발단하고 있지는 아니한지 정확한 진단을 받도록 한다.
우울증과 아동, 청소년 자살충동
우울증을 앓는 청소년들의 자살시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동, 청소년의 자살시도는 여자아이들이 남자아이들보다 더 많으며, 특히 청소년들의 경우 우울증 증상보다는 반사회 행동장애나 약물남용 등이 더 중요한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우울증의 치료를 소홀할 수 있다. 그러나 행동장애나 약물남용 등은 우울증과 함께하는 장애이며 이럴 경우 자살시도의 확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또한 알려져 있다. 10세 이하의 아동들이 자살을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고 있으며, 10세 이상 아동들의 경우 약물과다복용, 독극물, 소독용 알코올, 거북이 먹이 등을 마시거나 먹고 자살을 시도하는 경우가 보고되어 있다.
아동, 청소년에게 아래의 증상들이 나타나고 있다면 전문가와 반드시 상의하여서 적절한 조처를 취하도록 한다:
아동, 청소년 우울증 치료
약물치료 (Pharmacotherapy) - "기분장애: 우울증 진단 및 치료" 페이지 참조바람.
인지행동치료 (Cognitive Behavior Therapy)
아동 우울증 심리치료에는 치료사와 아동 1:1 인지행동치료를 비롯하여서 소규모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치료, 사회행동기술 교육, 문제해결기술 교육, Self-Instructional Training (SIT), 긴장이완훈련 등이 실효를 나타내는 치료법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학교에서 제공하는 그룹 행동치료법이 실효를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우울증 발생의 중요한 이유가 되고 있는 학교에서의 또래나 친구들과의 상호교류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학교에서의 그룹치료에서 그대로 다룰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가족치료 (Family Therapy)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기술을 익히는 부모교육(Parent Education)과는 달리 가족치료에는 부모, 형제, 그리고 현재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아동 모두가 치료에 참가하게 된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특히 가족치료가 강조되고 있다.
놀이치료 (Play Therapy)
놀이는 어린 아이들에게는 가장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의 방법이다. 인지기능, 언어기능, 그리고 정서능력 등이 아직은 발전단계에 있는 아동들에게서 언어로 생각과 기분을 나타내어야 하는 심리치료는 때로는 적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이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 전달할 수 있는 놀이를 치료에 활용하는 것이 놀이치료이다. 아이들은 치료사의 도움으로 놀이를 통하여서 운동감각기능, 상징적 사고처리능력, 어른들의 행동 모방하기, 상상의 세계 만들기, 환상이나 꿈을 표현해내는 기회 등을 가지게 된다. 놀이에서 벌어지는 여러 가지 일을 통하여서 문제를 바라볼 줄 알게 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바가 무엇인지를 또한 발견하기도 한다.
놀이를 통하여서 아이들은 가해자로부터 받은 정신적 고통이나 마음에 깊이 새겨진 상처의 경험들을 재현시키게 된다. 놀이의 공간에서는 무엇이던지 가능하기 때문에 상상속의 세계를 놀이 공간속에서 현실화시킴으로서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이 공간속에서 아이들은 자신에게 위협이 되었던 불안하고 어두웠던 경험을 재현시켜보기도 하고, 두려움을 안겨 준 대상에게도 가까이 다가가보면서 그 대상이 결코 무서워서 도망만 다녀야하는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느껴보기도 하고, 또 극심한 두려움을 체험한 아이(또는 자기 자신)를 직접 만나서 그 아이와도 공감대를 형성해보면서 지난 아픈 상처를 치유하고 놀이속의 경험을 통하여서 이를 극복하게 된다. 그로 인하여 미래에 또 있을 수 있는 다른 상처 주는 일에 대비하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우울증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 연령층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의 차이를 들 수 있다. 아동, 청소년들에게 나타나는 증상과 성인 또는 노년층에 나타는 증상에는 상당한 차이가 나고 있음을 DSM-IV에서 밝히고 있다. (성인 우울증은 "기분장애: 우울증 진단 및 치료" 페이지를 참고하기 바람). 아동우울증의 진단에는 다음과 같은 Weinberg 진단기준(The Weinberg Criteria)이 적용된다:
- 아동이 느끼는 우울한 기분(Severely depressed mood and affect)이 거의 온 종일 지속 되며 가족이나 주변사람들도 이러한 심리상태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 자신을 심하게 비하하는 발언이나 행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이와 동시에 아래 8가지 중에서 최소한 4가지 증상을 3주 이상 나타내 보일 때 우울증의 진단이 가능하다.
- 불안 또는 좌불안석해 한다
- 수면장애에 시달린다
- 학교성적부진 및 학업문제 발생
- 사회생활에서 활동의 변화
- 학교공부소홀 및 공부에 대한 태도변화
- 두통, 복통, 소화불량 등 신체적 증상 호소
- 일상생활활동 에너지 감퇴
- 식욕의 비정상적인 변화나 체중의 급격한 변화
우울증 발생 위험요소 (Risk Factors)
아동-청소년 우울증 발병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부모가 지닌 정신과 장애(특히 우울증이나 약물중독)와 부모간의 갈등으로 인한 심각한 가정불화나 이혼 두 가지를 들고 있다. 가정의 안정적 기틀과 가족간의 관계에 위협이 되는 부모-자식, 부부, 그리고 생활환경의 어떠한 변화도 아동우울증의 주요한 발병위험요소가 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아동-청소년 우울증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요소들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부모의 자녀 거부 또는 유기
- 경제적 문제로 인하여 가정의 파탄 또는 열악한 환경조건의 학교로 전학
- 부모의 우울증, 약물남용 등 정신과 장애
- 부모 또는 가족의 사망
- 성폭행, 정서적, 신체적 학대
- 자녀보호 소홀 또는 방치
- 부모의 배반 또는 가출
- 가정의 평온함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는 외부로부터의 위협 (psychological threat)이 존재할 때
- 시합, 경연, 시험, 그리고 학교성적 등에서 부모 또는 다른 사람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가 나왔을 때
- 부모나 집을 떠나서 다른 곳으로 거처를 옮길 때
- 애착관계의 사람과 관계가 단절되었을 때
잠복성 우울증 (Masked Depression)
잠복성 우울증의 주요원인으로는 학교공부의 가중한 책임감, 성적부진으로 오는 좌절 및 절망감 (hopelessness), 동급생이나 친구들로부터의 따돌림, 부모로부터의 버림받음, 친구나 부모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함, 열악한 가정환경, 부모의 정서적 유기 또는 방치, 그리고 신체적, 성적학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런 경험을 하는 아동들에게서는 위의 Weinberg 진단기준에서 말하는 전형적인 우울증 증상보다는 오히려 불안장애, 반항행동 및 반사회적 행동장애 등이 중요한 증상으로 나타나며, 특히 학교생활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는 한다. 등교거부, 무단결석, 학업소홀 등으로 정학을 당하거나 자녀의 문제로 인하여 학교당국과 면담이 잦아지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자녀의 행동이 우울증으로부터 발단하고 있지는 아니한지 정확한 진단을 받도록 한다.
우울증과 아동, 청소년 자살충동
우울증을 앓는 청소년들의 자살시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동, 청소년의 자살시도는 여자아이들이 남자아이들보다 더 많으며, 특히 청소년들의 경우 우울증 증상보다는 반사회 행동장애나 약물남용 등이 더 중요한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우울증의 치료를 소홀할 수 있다. 그러나 행동장애나 약물남용 등은 우울증과 함께하는 장애이며 이럴 경우 자살시도의 확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또한 알려져 있다. 10세 이하의 아동들이 자살을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고 있으며, 10세 이상 아동들의 경우 약물과다복용, 독극물, 소독용 알코올, 거북이 먹이 등을 마시거나 먹고 자살을 시도하는 경우가 보고되어 있다.
아동, 청소년에게 아래의 증상들이 나타나고 있다면 전문가와 반드시 상의하여서 적절한 조처를 취하도록 한다:
- 식욕이나 수면습관의 비정상적이고 급격한 변화가 있다.
- 친구, 가족, 그리고 평소 즐겨하던 사회활동으로부터 스스로를 소외하거나 멀리한다.
- 무단가출, 반항행동, 과격한 폭력적 행동이 나타난다.
- 마약 또는 알코올을 남용한다.
- 외모에 무관심해지면서 남루한 모습으로 변해간다.
- 쉽게 화를 내거나 좌불안석 하는 등 성격적인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 집중력이 부족해지고, 학업성적이 눈에 띄게 떨어지면서, 공부가 따분하고 재미없다고 한다.
- 일상사 거의 대부분 일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거나 즐거운 마음이 없다고 한다.
- 칭찬이나 보상 등을 강하게 거부한다.
- 자살, 죽음 등을 자주 입에 올리며 집착하기 시작한다.
아동, 청소년 우울증 치료
약물치료 (Pharmacotherapy) - "기분장애: 우울증 진단 및 치료" 페이지 참조바람.
인지행동치료 (Cognitive Behavior Therapy)
아동 우울증 심리치료에는 치료사와 아동 1:1 인지행동치료를 비롯하여서 소규모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치료, 사회행동기술 교육, 문제해결기술 교육, Self-Instructional Training (SIT), 긴장이완훈련 등이 실효를 나타내는 치료법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학교에서 제공하는 그룹 행동치료법이 실효를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우울증 발생의 중요한 이유가 되고 있는 학교에서의 또래나 친구들과의 상호교류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학교에서의 그룹치료에서 그대로 다룰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가족치료 (Family Therapy)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기술을 익히는 부모교육(Parent Education)과는 달리 가족치료에는 부모, 형제, 그리고 현재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아동 모두가 치료에 참가하게 된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특히 가족치료가 강조되고 있다.
- 부모사이에서 발생하는 부부간의 갈등이나 불화가 자녀들에게 그대로 영향을 미치고 있을 때.
- 가족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이나 가족구성 자체에 구조적으로 문제점을 안고 있을 때 (예를 들어서 가정에 발생하는 문제를 감정폭발이나 폭언, 또는 침묵시위 등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경우, 아버지와 딸이 편이 되어 엄마를 공격하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 자녀들이 부모를 경멸하는 태도를 보이는 경우 등).
- 부모 한쪽이 자녀를 과잉보호하거나 소유물처럼 행동하고 있을 때.
놀이치료 (Play Therapy)
놀이는 어린 아이들에게는 가장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의 방법이다. 인지기능, 언어기능, 그리고 정서능력 등이 아직은 발전단계에 있는 아동들에게서 언어로 생각과 기분을 나타내어야 하는 심리치료는 때로는 적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이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 전달할 수 있는 놀이를 치료에 활용하는 것이 놀이치료이다. 아이들은 치료사의 도움으로 놀이를 통하여서 운동감각기능, 상징적 사고처리능력, 어른들의 행동 모방하기, 상상의 세계 만들기, 환상이나 꿈을 표현해내는 기회 등을 가지게 된다. 놀이에서 벌어지는 여러 가지 일을 통하여서 문제를 바라볼 줄 알게 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바가 무엇인지를 또한 발견하기도 한다.
놀이를 통하여서 아이들은 가해자로부터 받은 정신적 고통이나 마음에 깊이 새겨진 상처의 경험들을 재현시키게 된다. 놀이의 공간에서는 무엇이던지 가능하기 때문에 상상속의 세계를 놀이 공간속에서 현실화시킴으로서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이 공간속에서 아이들은 자신에게 위협이 되었던 불안하고 어두웠던 경험을 재현시켜보기도 하고, 두려움을 안겨 준 대상에게도 가까이 다가가보면서 그 대상이 결코 무서워서 도망만 다녀야하는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느껴보기도 하고, 또 극심한 두려움을 체험한 아이(또는 자기 자신)를 직접 만나서 그 아이와도 공감대를 형성해보면서 지난 아픈 상처를 치유하고 놀이속의 경험을 통하여서 이를 극복하게 된다. 그로 인하여 미래에 또 있을 수 있는 다른 상처 주는 일에 대비하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